Stake-Other Starting
RE:L0:AD 2025 조별 리그 형식, 왜 완전 엉망인지 설명합니다
  • 15:54, 15.05.2025

RE:L0:AD 2025 조별 리그 형식, 왜 완전 엉망인지 설명합니다

아마도 Rainbow Six Siege 팬이라면 모두가 RE:L0:AD 2025를 어떤 방식으로든 지켜봤을 것입니다. 게임에 대한 사랑으로, 또는 좋아하는 팀을 응원하기 위해서 말이죠. 하지만 이와 함께 같은 질문이 따라왔습니다: 이 토너먼트의 형식은 무엇인가요? 스위스 시스템도, 전통적인 그룹 스테이지도 아닙니다. 대신 20개 팀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그룹, '불릿', 카드, 보너스 등이 있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이전에 RE:L0:AD 2025 형식의 메커니즘을 별도의 기사에서 설명했으니, 이제는 다른 것에 집중해보겠습니다. 바로 이 형식이 왜 끔찍한지에 대해서요.

불릿, 카드, 혼돈

솔직히 말해, '불릿'의 아이디어는 흥미롭습니다. 신선하고, 역동적이며, 심지어 상호작용적이기까지 하죠. 그러나 보너스 카드가 규칙에 도입되면서 모든 것이 무너지기 시작했습니다.

3라운드 경기를 보세요: PSG TalonElevate를 상대팀으로 선택했고, 그들은 마지막 3개의 불릿을 사용하며 "Extended Mag Card" 카드를 활성화했습니다. 긴장감 넘치는 승리 후, 10개의 불릿(자신의 3개 + 카드로 6개 + 승리로 1개)을 얻었습니다. 그 결과, 단 한 경기와 메커니즘의 행운 덕분에 테이블의 꼭대기로 치솟았습니다.

다른 팀들도 비슷한 전략을 시도했습니다:

  • PSG Talon도 Elevate와의 경기에서 시도했지만 패배했습니다.
  • Cloud9SCARZ와 경기해서 승리했습니다.
  • G2Wildcard와 경기해서 패배했습니다.
  • SSGFearX와 경기해서 패배했습니다.

4라운드의 더 큰 혼란

4라운드에서는 비슷한 상황이 이어졌습니다.

  • CAG OsakaLiquid를 상대로 같은 전략을 사용했습니다(하지만 Liquid는 시도하다가 패배).
  • SCARZ는 Elevate와의 경기에서 패배했습니다.
  • Falcons는 FearX와의 경기에서 8개의 불릿을 배팅하고, +6 카드를 활성화하여 1개의 불릿을 16개로 바꿨습니다. 결국, 그들은 상위 5위에 올랐습니다.
  • LOUDBDS와 경기해서 6개의 불릿과 카드로 6개를 더 추가했습니다.
  • FaZe Clanfnatic과의 경기에서 양 팀이 카드를 활성화했으며, FaZe가 승리하여 13개의 불릿을 얻었습니다.
특정 라운드에서의 불릿 수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거나 탈락한 팀을 보여주는 그룹 스테이지 테이블. 출처: Ubisoft
특정 라운드에서의 불릿 수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거나 탈락한 팀을 보여주는 그룹 스테이지 테이블. 출처: Ubisoft
R6 새 시즌의 주도권은 누구에게? RE:L0:AD 2025 미리보기
R6 새 시즌의 주도권은 누구에게? RE:L0:AD 2025 미리보기   
Article

논란의 플레이오프 진출 규칙

여기서부터 정말 이상해지기 시작했습니다. Ubisoft의 공식 형식 페이지에서는 "라운드 5에서 팀 수가 홀수일 경우, 상위 4팀이 플레이오프로 진출합니다"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명확하게 들리죠? 하지만 아닙니다. 실제로는 상위 5팀이 진출해야 했고, 이 규칙 오류는 Liquipedia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아마도 주최 측이 실수를 했고 이를 수정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큽니다.

4라운드 이후 진출한 팀:

  • LOUD — 22 불릿
  • CAG Osaka — 19
  • Elevate — 17
  • w7m — 16
  • Falcons — 16

FaZe Clan (16 불릿)도 슬롯을 놓고 경쟁했으며, 여기서 정말 흥미로워졌습니다: Falcons가 선택된 기준은 무엇이었을까요? 처음에는 상황이 논란의 여지가 있어 보입니다 — 라운드 차이는 동일하고, 직접 대결도 없었으며, 두 팀 모두 경기 승률이 50%였습니다. 하지만 결정적인 요소는 라운드 승률이었던 것 같습니다.

Falcons는 53.49% (43개 중 23개 라운드 승리), FaZe Clan은 53.06% (49개 중 26개)였습니다. 차이는 미미하지만, 이로 인해 Falcons가 앞서 나가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수 있었습니다.

카드가 많은 자가 승리 - 5라운드

4라운드에서 이미 5팀이 진출했으므로, 5라운드에서는 3팀만이 플레이오프로 이동했습니다. 그리고 누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을까요? 여전히 카드를 가지고 있는 팀들입니다.

  • Wildcard — 27 불릿
  • FearX — 23
  • FURIA — 22

M80 (19)과 G2 (18)는 매우 근접했지만,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M80은 예비로 남아있어야 할 초기 불릿이 부족했고, G2는 카드를 가지고 있지 않아 추가 6개의 불릿을 얻지 못해 플레이오프로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출처: Joao Ferreira / Ubisoft
출처: Joao Ferreira / Ubisoft
RE:L0:AD 2025 토너먼트 모든 정보
RE:L0:AD 2025 토너먼트 모든 정보   
Article

화려함을 위한 형식, 공정함은 어디에?

특정 팀의 팬이라면 이를 뼈저리게 느꼈을 겁니다. Secret, DarkZero, M80 같은 팀들은 3–1로 기록을 남겼고, 스위스 브래킷이었다면 이미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5라운드에서 패배하여 3–2의 결과로 토너먼트에서 탈락했습니다. 반면, CAG Osaka, Elevate, Falcons는 단지 초기에 카드를 잘 사용했기 때문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습니다. 공정한가요?

제게는 이 형식이 고안될 수 있는 가장 불공정한 형식입니다. 물론 흥미롭고, 이런 토너먼트를 보는 것은 재미있습니다. 하지만 특정 팀을 응원하고 그들이 나쁜 플레이가 아니라 단지 카드 하나 때문에 탈락하는 것을 본다면, 형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분명합니다. 이는 팀의 플레이 품질이 아니라 규칙을 가장 잘 이해하고 활용한 팀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제 플레이오프를 어떻게 예측해야 할까요? 팀의 강점을 어떻게 분석해야 할까요? Elevate는 0–2로 시작했지만, 카드 한 번으로 경기를 이기고 거의 확정된 플레이오프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그리고 Wildcard와의 BO3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어떤 분석도 이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FaZe — Six Invitational 2025의 우승팀이었으며, 여기서는 카드와 몇 퍼센트 포인트 부족으로 탈락했습니다.

출처: Adela Sznajder / Ubisoft
출처: Adela Sznajder / Ubisoft

형식이 실패했을까요? 플레이오프가 말해줄 것입니다

CAG Osaka와 Elevate가 플레이오프에서 어떻게 활약할지 지켜보는 것은 흥미로울 것입니다. 그들이 자신의 수준을 보여줄 것인지, 아니면 FaZe, M80, DarkZero, Cloud9, G2가 결정적인 단계에 진출하지 못한 것이 형식의 오류 때문인지 알게 될 것입니다. 플레이오프와 토너먼트 결과를 따라가려면 링크를 클릭하세요.

왜 토너먼트 형식이 끔찍한가

제 생각에, RE:L0:AD 2025 형식은 선수, 팀, 팬들에게 끔찍합니다. 물론 화려하고 상호작용적이지만, 공정한 경쟁보다는 복권에 가깝습니다. 이미 입증된 해결책이 있습니다 — 스위스 시스템: 팀의 진정한 실력을 보여주고, 모든 경기는 BO3 또는 처음 두 경기는 BO1, 나머지는 BO3로 진행됩니다. 이를 통해 누가 토너먼트에 준비되어 있는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이는 CS2, Dota 2, LoL, Valorant의 주요 토너먼트에서 사용되는 형식이며, 그곳에서는 잘 작동합니다. Ubisoft는 진정한 대회를 원한다면, 카드와 불릿으로 가득 찬 아름다운 쇼가 아닌, 이 형식을 재고해야 할 것입니다.

추가 콘텐츠 이용 가능
Twitter bo3.gg로 이동하세요
Stake-Other Starting
댓글
날짜별